품질경영 VS 품질보증 직무 고민
품질경영 부서와 품질보증 부서 중 고민입니다. 업무 자체는 품질경영을 더 하고싶지만 최종 목표가 현대자동차인 만큼 이직을 생각하면 품질보증 직무가 더 나을 것 같아서 고민입니다. 아래는 화승 R&A에 채용 공고입니다. [품질경영] - IAFT 16949 인증업무 - 품질 프로세스 업무 및 협력사 평가 / 관리 - 신규품질 기획 업무 [품질보증] - 양산차종 품질 보증 - 신차개발 차종 APQP에 따른 선행 부품 품질육성 및 품질 확보 - 품질 데이터 분석 및 개선 - 공정 품질문제 개선 및 검증 -------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품질보증 부서] · 신차 및 양산차 배기 시험 업무 · IQS/VDS/CR/NCBS 등 대외 평가 기관 품질 지수 개선 활동 · 품질정책 관련 기획 업무 - 국내/해외/CKD 생산공장 공정진단 및 개선활동 / 완성차 기초 법규점검 현차 품질보증 이직을 생각하면 어떤 부서를 더 추천하시나요? 여자를 더 뽑는 곳도 궁금합니다.
SK하이닉스 품질보증 직무가 패키징/테스트에 대해 잘 알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SK하이닉스 품질보증 직무 준비중인 학생입니다. 1. 품질보증 직무가 패키징 / 후공정 / 테스트 쪽 업무를 많이 진행한다고 보았는데, P&T 직무처럼 패키지와 테스트에 특화된 직무가 따로 있는데, 품질보증 직무가 얼마나 패키지, 테스트, 신뢰성 업무를 진행하는 지 궁금합니다. 패키지와 테스트에 대해서 P&T 직무가 있는데, 품질보증 직무는 어떤식으로 P&T 직무와 다르게 패키지, 테스트 업무를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2. 또한 품질보증 직무를 준비하기 위해서 패키지 재료, 개발, 구조, 종류 등등... 까지 공부하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보통 학부에서는 트랜지스터~패키지 이전 Metal line 까지만 가르쳐서 패키지 지식이 많이 없어서 품질보증 직무 지원에 부적합 한 것 아닌가 생각되어서 질문드립니다.
석유화학 품질보증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현재 제약업계에서 3년정도 품질보증 업무 경험을 가졌고 석유화학 품질보증 업무로 이직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약 품질보증 경험으로 석유화학 품질보증 경력직을 써도 될지 고민되어 선배님들의 조언을 얻고싶습니다. 우선, 제가 경험한 제약 품질보증 업무 중 석화 품질보증 업무와 비슷하다고 생각되는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SOP 제개정 2.분석 데이터 기반 트러블 슈팅 3.해외 고객사 및 감사기관(FDA) 대응 4.HPLC, UV활용한 시험경험(근데 완전 기초적인…) 그리고 제가 부족하다고 생각드는 부분입니다 1.화학과 출신이지만 HPLC, ICP, UV 외 분석기기 사용경험은 없다는 점 2.시험경험보단 문서 작성 관련 경험이 많다는점 (제약 QA는 실험은 거의 안하고 문서작성을 위주로 합니다) 3.졸업한지 오랴되서 이젠 화학명 들어도 화학식 못그린다는 점 적어넣고 보니 부족한점이 너무 많은데 이 경험으로도 연관 직무로 쳐줄지 걱정되네요 ㅜㅜ
현대자동차 파워트레인 품질보증 직무가 어떤 업무를 수행하나요??
안녕하세요. 이번 파워트레인 품질보증 직무 면접을 앞두고 있는 취준생입니다. 품질보증(파워트레인) 직무 설명을 확인했는데, 자세한 내용은 공개가 안되어 있는 것 같아서 현직자 분들의 조언을 얻고자 실례를 무릅쓰고 질문드립니다.ㅠㅠ 제가 이해한 바로는 파워트레인 품질보증 직무는 판매된 차량에 대한 고객의 클레임을 바탕으로 품질 개선 활동을 수행하며, 자체 재현 시험을 통해 품질 문제를 발견하고 선제 대응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이 과정에서 협력사 생산 공정 점검 및 개선 활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했는데 혹시 또다른 업무가 있을까요?? 추가로 현대자동차는 완성차 업체로 조립만 수행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현대자동차 파워트레인 시스템 중 현대자동차가 자체 생산하는 부품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현대자동차 제네시스 품질보증
혹시 현대자동차 제네시스 품질보증 업무를 하고 계시는 현직자 분이 계실까요? 혹은 품질보증 업무를 하고계시는 현직자 분이 계실까요? 품질보증 면접에서 어떤걸 물어보시는지 궁금합니다.
현대자동차 품질보증 직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기계공학 전공자이고, 평소 자동차에 관심이 많은 엔지니어입니다.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품질보증 직무에 관심이 있어 질문드리고자 합니다. 품질보증 수행업무에 대해서는 모집공고 및 서칭을 통해 파악을 하였습니다만, 업무수행에 있어 어느정도의 수준을 요하는것인지 현직자 분들의 의견을 여쭙고자합니다. [질문1] 엔지니어의 전공에 따라 업무 및 팀이 달라지는지 궁금합니다. [질문2] 품질보증 직무 수행 시 요즘 대세가 되어가고 있는 전동화, 자율주행 등 관련 카테고리의 업무들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고 들었는데, 엔지니어들의 전공과 관계없이 이슈가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공 지식은 모두 공부가 되어야 할까요? (ex. 전기전자) [질문3] 개인의 노력이 중요하겠지만, 회사 차원에서 입사 후에도 품질 또는 자동차에 대한 깊은 이해를 위한 교육이 제공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현대자동차 품질보증 근무지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 현대차 공고를 보고 알아보던 중에 '품질보증' 직무 근무지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어서 몇 가지 질문 드립니다. 1. 품질보증 직무 지원 희망 근무지가 남양연구소/아산공장/울산공장 세 곳이 있는데 공고에 이렇게 세 곳이 있다는 건 세 곳 모두 티오가 있다는 건지 궁금합니다. 2. 남양 연구소 / 아산공장 / 울산공장 각 공장마다 품질보증 직무에서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아산공장에서 생산하는 차종에 대한 품질보증은 아산공장에서, 울산공장에서 생산하는 차종에 대한 품질보증은 울산공장에서 근무하게 되는 방식이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현대자동차 품질보증 파워트레인 직무 현직자님께 질문드립니다!
현재 현대자동차 품질보증 직무 2차 면접을 준비 중인 취준생입니다. 제가 이력서에 플랜트 전문인력 양성과정 이수했다고 기입했는데 면접 때 만약 생산직무가 아닌데 왜 땄냐고 물어본다면 아래의 답변과 같이 하면 괜찮을까요? 아니면 직무에서 관련해서 강점이 될만한 부분이 있으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품질보증 직무는필드클레임을 바탕으로 어떤 과정에서 품질문제가 발생했는지 파악하며 생산공장, 생산기술 등 관련 전부문과 협업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직무입니다. 저는 플랜트 전문인력 양성과정을 통해 자동차 생산공정 단계를 배우고 이해했습니다. 이를 통해 품질이슈가 발생했을 시 생산프로세스를 이해함으로써 어느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빠르게 캐치하며, 관련 부서와 협업 시 효율적인 협업을 이루어 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현대자동차 품질보증 관련 질문 있습니다.
현대자동차 품질보증 직무에서 하는 일을 보았는데, 1번과 2번이 한 팀에서 하는 업무인지 궁금합니다. 1. 품질 문제 원인 조사 및 개선 - 샤시/의장/차체 및 자율주행/OTA/전자 제어기 등 품질 문제 개선 및 완성차 품질보증 업무 - 고객 차량 품질 문제 발생 정보 모니터링(클레임 데이터, 블루핸즈 등) - 클레임 비용 저감 방안 수립 - 양산차 주요 품질 개선 사례 신차 개발 반영 - 국내/해외 완성차 공장 및 협력사 품질 개선 지원 2.품질 관련 업무 - 신차 환경조건 시험, 양산차 주행 성능 평가 및 개선, BSR/NVH 측면 고객 불만 예방 활동, 환경 법규 검증 시험 업무 - IQS/VDS/CR/NCBS 등 대외 평가기관 품질지수 개선 활동 - 국내/해외 협력사 변제, 캠페인 실적 분석 - 품질정책 관련 기획업무 이게 부서가 나뉘어져 있는 것인가요? 아니면 한 팀의 업무인가요?
현대자동차 품질보증 직무 데이터 분석관련 궁금증
[현대자동차 품질보증(울산) 직무 상세 내용] 1) 품질문제 원인 조사 및 개선 - 샤시/차체/의장부품 및 차량 전자 제어기/자율주행/OTA 시스템 등의 품질 문제 개선 및 완성차 품질보증 업무 - 고객 차량 품질 문제 발생 정보 모니터링(클레임 데이터, 보증수리 Data, 동호회, 블루핸즈 등) - 품질 문제 근본 원인 조사를 통한 개선안 수립, 유효성 검증 및 수평 전개, 시장조치 방안 수립 - 품질 문제 클레임 비용 저감 방안 수립 (교환 단위 파셜화, 정비방법 개선, 문제 현상 진단 방법 개발 등) - 양산차 주요 품질 문제 개선 사례 신차 개발 반영 - 국내/해외 완성차 공장 및 협력사 품질 개선 지원 산업공학과 졸업생으로 Minitab, Orange, Power BI를 이용해 데이터 분석 경험이 있습니다. 현차 품질보증에서는 어떤 툴로 어떻게 데이터 분석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ex. 부적합 원인 데이터를 통해 시계열 분석, 특정 공정의 문제 발견, 중점관리항목 도출 등
SK하이닉스 품질보증 직무 질문
안녕하세요. SK하이닉스 품질보증 직무 준비중인 학생입니다. 품질보증직무 하는일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 반도체 제품 각 모듈 (게이트/소스드레인/커패시터... 등등) 에서 소자/공정팀이 불량 개선하고 품질 올리는 것과 품질보증직무에서 에서 품질업무 하는 것과 정확히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각 모듈의 소자, 공정팀이 불량 개선하는 것도 제품의 품질을 올리는 업무인데, 정확히 품질보증 직무에서는 어떤 품질을 올리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패키지의 품질을 올리는 것인가요? FEOL 트랜지스터 부분 품질보다는 전체적인 팹아웃 후 품질을 올리는 건가요? 2. 품질보증 직무는 Fab inline data (CD, OCD 등등) 를 위주로 보나요? 아니면 fab out 된 ET data/전기적 특성 data를 위주로 보는건가요? 또한, 품질보증에서 수율 관련 data 까지도 보는건지 궁금합니다. 3. 품질보증 직무는 개발제품의 성능과 신뢰성(수율) 중 무엇을 더 중시하나요?
현대자동차 품질보증 직무
안녕하세요, 이번 9월 현대차 신입 채용 '남양 품질보증' 직무 지원 예정인 중고신입입니다. 이전 직장에서 클레임 분석 및 해결 위주로 담당했기 때문에, 산업은 떼어놓고 직무만 보자면 품질보증 업무가 저에게 딱 맞다고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문제는 산업입니다.. 이전 직장 업종이 식품/의약품/바이오 쪽이라서 자동차를 비롯한 기계/전자 쪽 지식이 전무합니다. 물론 공장 근무라 설비에 대한 어느 정도 이해도는 있긴 하지만, 타 지원자들에 비해 턱 없이 부족할 거라 생각합니다. 다만 JD를 보면 자동차 관련 지식도 타 품질 직무(품질관리, 시스템품질 등)에 비해 빡세게 요구하는 것 같지 않아서 최대한 직무(현 직장에서 분석, 해결했던 클레임 위주)에 대해 어필하며 지원하려 하는데, 최종까지 가기엔 현실적으로 많이 어려울까요?